당장 생활비 없어서…알바 뛰어든 청년들, 매년 6%씩 늘었다

박상영 기자

청년층 ‘생계형’ 가파른 증가세

10년간 비자발적 시간제 근로자

79만명에서 102만명으로 늘어

당장 생활비 없어서…알바 뛰어든 청년들, 매년 6%씩 늘었다

최근 10년간 ‘비자발적 시간제 근로자’가 전체 임금근로자보다 더 빠르게 늘어났다. 당장 생활비가 없어서 시간제 일자리에 뛰어든 청년층 생계형 근로자는 매년 6% 넘게 증가했다.

11일 한국경제연구원이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 10년간(2012~2022년) 비자발적 시간제 근로자의 연평균 증가율은 2.5%였다.

이는 전체 임금근로자(15~64세) 연평균 증가율(1.4%)보다 1.8배 높은 규모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10년 전에 79만3000명이었던 비자발적 시간제 근로자는 102만명으로 불어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과 비교해도 한국의 비자발적 시간제 근로자 비중은 높은 수준이다.

2021년 기준, 전체 시간제 근로자 중 비자발적인 사람의 비중은 한국이 43.1%로, OECD 30개국 평균(29.1%)과 비교해 1.5배 높았다.

연령별로 보면 50대 이상에서 비자발적 시간제 근로자가 2012년 28만7000명에서 2022년 47만명으로 연평균 5.0%씩 늘었다. 같은 기간 청년층(15~29세) 시간제 근로자도 22만7000명에서 29만명으로 연평균 2.5%씩 증가했다.반면, 30대는 증가율이 0.7%에 그쳤고, 40대는 1.6%씩 줄어들었다.

한경연은 “청년층은 얼어붙은 채용시장으로 인해, 고령층은 휴·폐업, 권고사직 등의 영향으로 어쩔 수 없이 시간제 근로를 택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해 비자발적 시간제 근로자를 사유별로 보면 60.8%는 생활비 등 당장 수입이 필요해 일자리를 구한 ‘생계형’이었다.

이어 원하는 분야의 일자리가 없어서(17.2%), 육아·가사 등 병행(5.5%), 전공이나 경력에 맞는 일거리가 없어서(3.4%) 순이었다.

생계형 시간제 근로자는 청년층에서 가장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2012년 7만1000명이었던 청년층 생계형 시간제 근로자는 2022년에는 13만4000명으로 연평균 6.6% 늘어났다.

50대 이상 생계형 시간제 근로자도 매년 4.4% 증가했다.


Today`s HOT
홍수 피해로 진흙 퍼내는 아프간 주민들 총선 5단계 투표 진행중인 인도 대만 라이칭더 총통 취임식 라이시 대통령 무사 기원 기도
이라크 밀 수확 안개 자욱한 이란 헬기 추락 사고 현장
2024 올림픽 스케이트보드 예선전 폭풍우가 휩쓸고 간 휴스턴
연막탄 들고 시위하는 파리 소방관 노조 총통 취임식 앞두고 국기 게양한 대만 공군 영국 찰스 3세의 붉은 초상화 개혁법안 놓고 몸싸움하는 대만 의원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