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후쿠시마 오염수, 국제사회 연구 선행돼야

서경석 한국원자력연구원 환경안전평가연구부장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으로 야기된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로 방사성 물질이 대기와 해양으로 유출됐다. 당시 국제사회는 구 소련의 체르노빌 사고를 떠올리며 큰 우려를 나타냈다.

서경석 한국원자력연구원 환경안전평가연구부장

서경석 한국원자력연구원 환경안전평가연구부장

그런데 최근 일본 정부는 아예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오염수를 태평양에 의도적으로 방류할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 후쿠시마 원전에선 원자로 건물에 주입한 냉각수에 더해 빗물과 지하수까지 흘러들면서 오염수가 발생하고 있다. 일본은 이를 부지 내 탱크에 보관 중이지만, 2022년 여름이면 포화가 예상돼 해양 방류를 고려 중이다. 삼중수소 배출 기준인 1ℓ당 6만㏃(베크렐) 이하로 농도를 낮춰 약 10~30년간 방류하면 괜찮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다핵종 제거설비인 ‘알프스(ALPS)’로 오염수에서 대부분의 핵종을 걸러내더라도 삼중수소는 제거할 수 없다고 일본은 발표했다. 도쿄전력 조사에서 일부 구역 오염수의 ‘스트론튬-90’ 농도가 수십만㏃에 이르고 방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도 나타났다.

일본은 오염수의 해양 방출 계획을 중단하고, 주변국의 이해를 먼저 구해야 한다. 방사성 물질의 종류와 양, 알프스 처리 전후의 오염수 농도 등을 상세히 공개해야 한다.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고 주장하지만, 해양 내 방사성 물질의 농도가 증가하는 건 분명하기 때문에 국제원자력기구(IAEA) 주관으로 한국, 미국, 캐나다, 러시아 등이 참여한 공동 연구가 필요하다. 현장 측정 분석, 알프스 처리 전후의 자료 분석, 해양 환경영향평가 등이 선행돼야 한다.

한국은 2012년부터 2017년까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원자력연구개발 사업으로 ‘해양확산모델(LORAS)’을 개발해 IAEA 국제 공동 연구에 참여하면서 그 우수성을 입증했다. 최근에는 성능과 정확도를 높이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 측의 공개 정보가 부족해 정확한 결론을 얻을 수 없는 상황이다. 오염수에 대한 투명한 정보와 국제사회의 조사·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후쿠시마 오염수의 태평양 방류가 시기상조인 이유다.


Today`s HOT
올림픽 성화 도착에 환호하는 군중들 러시아 전승절 열병식 이스라엘공관 앞 친팔시위 축하하는 북마케도니아 우파 야당 지지자들
파리 올림픽 보라색 트랙 첫 선! 영양실조에 걸리는 아이티 아이들
폭격 맞은 라파 골란고원에서 훈련하는 이스라엘 예비군들
바다사자가 점령한 샌프란만 브라질 홍수, 대피하는 주민들 토네이도로 파손된 페덱스 시설 디엔비엔푸 전투 70주년 기념식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