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계엄에 짓눌린 소비심리…코로나 이후 하락폭 최대

임지선 기자

전월 대비 12.3P 뚝

25개월 만에 ‘최저’

12·3 비상계엄 사태로 정치 불확실성이 커지고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12월 소비심리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악화했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2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88.4로 11월(100.7)보다 12.3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때인 2020년 3월(-18.3포인트) 이후 가장 큰 하락폭이다. 지수도 ‘레고랜드 사태’가 벌어진 2022년 11월(86.6) 이후 가장 낮다.

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구성하는 15개 지수 중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등 6개를 이용해 산출한 지표다. 지수가 100보다 크면 소비자의 기대심리가 장기평균(2003~2023년)에 비해 낙관적이고,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이라는 의미다.

황희진 한은 통계조사팀장은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수출 둔화 우려 등으로 11월 CCSI가 하락했는데, 이달 초 비상계엄 사태가 지수 하락 요인으로 추가됐다”며 “정치적 불확실성이 얼마나 빨리 해소되고 안정을 찾아가느냐에 따라 소비심리 회복 속도도 결정될 것”이라고 했다.

11월과 비교해 CCSI를 구성하는 6개 지수 중 현재경기판단(52·-18포인트)이 눈에 띄게 낮아졌다. 2020년 3월(-28포인트) 이후 낙폭이 가장 컸다. 향후경기전망(56·-18포인트)도 2022년 7월(-19포인트) 이후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이 밖에 현재생활형편(87·-4포인트), 생활형편전망(86·-8포인트), 가계수입전망(94·-6포인트), 소비지출전망(102·-7포인트) 등도 내려갔다.

취업기회전망도 65로 전달(79)에 비해 14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2022년 7월(-17포인트) 이후 최대 하락폭이다.

향후 1년간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9%로 전월 대비 0.1%포인트 상승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10~17일 전국 2500가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Today`s HOT
인도네시아의 대통령과 함께하는 주지사 및 구청장 선서식 세계는 다 함께 즐기는 카니발 열풍 캐나다 추락 여객기, 잔해를 제거하기 시작한 대원들 호주 서해안 근처에 떠밀려와 쓰러진 흑범고래들..
케이프타운 대학생들의 시위 굉음 소리에 주민들 대피, 영국 남부에 발생한 싱크홀
프란치스코 교황의 건강 기원 미사 강이 얼어붙는 체코의 날씨, 스케이트 타는 사람들
조류 독감 발생 여파, 달걀 관리에 투자하는 농장의 모습 미국 겨울 폭풍과 홍수가 몰고 온 흔적 뎅기열 퇴치 캠페인이 시작된 필리핀 원전 오염 토양 처리 시설 점검 위해 일본 방문한 사무총장
캐나다 추락 여객기, 잔해를 제거하기 시작한 대원들
캐나다 추락 여객기, 잔해를 제거하기 시작한 대원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