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월 대비 12.3P 뚝
25개월 만에 ‘최저’
12·3 비상계엄 사태로 정치 불확실성이 커지고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12월 소비심리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악화했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2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88.4로 11월(100.7)보다 12.3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때인 2020년 3월(-18.3포인트) 이후 가장 큰 하락폭이다. 지수도 ‘레고랜드 사태’가 벌어진 2022년 11월(86.6) 이후 가장 낮다.
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구성하는 15개 지수 중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등 6개를 이용해 산출한 지표다. 지수가 100보다 크면 소비자의 기대심리가 장기평균(2003~2023년)에 비해 낙관적이고,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이라는 의미다.
황희진 한은 통계조사팀장은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수출 둔화 우려 등으로 11월 CCSI가 하락했는데, 이달 초 비상계엄 사태가 지수 하락 요인으로 추가됐다”며 “정치적 불확실성이 얼마나 빨리 해소되고 안정을 찾아가느냐에 따라 소비심리 회복 속도도 결정될 것”이라고 했다.
11월과 비교해 CCSI를 구성하는 6개 지수 중 현재경기판단(52·-18포인트)이 눈에 띄게 낮아졌다. 2020년 3월(-28포인트) 이후 낙폭이 가장 컸다. 향후경기전망(56·-18포인트)도 2022년 7월(-19포인트) 이후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이 밖에 현재생활형편(87·-4포인트), 생활형편전망(86·-8포인트), 가계수입전망(94·-6포인트), 소비지출전망(102·-7포인트) 등도 내려갔다.
취업기회전망도 65로 전달(79)에 비해 14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2022년 7월(-17포인트) 이후 최대 하락폭이다.
향후 1년간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9%로 전월 대비 0.1%포인트 상승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10~17일 전국 2500가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